나의 행적

2022년 10월 13일(피드백의 관점)

생각을 현실로 2022. 10. 13. 08:51
반응형

오늘의 말 : 피드백은 꼭 필요한 것이다. 피드백과 자신을 공격하는 것을 구분하여 생각하자. 피드백과 의식적인 연습이 없다면 이는 성장에 크게 브레이크를 거는 일이 될 것이다. 

 

 

위의 이야기는 최근에 보았던 체인지 그라운드 신영준 박사님이 한 말과 그릿의 내용중 하나를 말한 것이다. 둘은 일맥상통 하는 점이 있는것 같아 글을 쓰려고 한다. 일단 신영준 박사님이 말하시는 점 중 하나가 피드백은 매우 중요하다와 요즈음 사람들은 피드백에 대해 굉장히 자기 방어적 성향을 띈다 였습니다. 이를 보면서 저는 피드백과 자신을 공격하는 것은 구분할 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공격을 하더라도 자신이 부족한 점을 비꼬아서 공격하는 것일 수도 있으니 이 또한 피드백에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맹목적인 비난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성숙한 자기방어 기제를 가지기 위해 노력하고 의식해야 합니다.

 

 이제는 피드백의 종류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피드백은 두가지 남에게서 받는 타인의 의한 피드백과 자신이 성찰하는 자신이 하는 피드백이 있습니다. 두 가지는 모두가 하면 최고의 효과를 가질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만 타인에게 피드백을 받는것은 쉽지 않을 뿐더러 자신이 하는 것들에 있어 나보다는 많이 알고 있는 사람에게 피드백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체계적으로 논리있게 자신의 이론에 맞게 정리하여 피드백을 준다는 것은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한 점을 비추어 볼 때 이를 다시한번 내용을 자신이 피드백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두번째 자신의 피드백은 어떨까요. 자신의 피드백은 자신이 무엇이 부족한지 자아 성찰과 함께 그것을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자신이 무엇이 부족한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자신이 공부를 해 나가야 합니다. 전자를 쓰기만 한다면 홀로 서는 힘이 부족해 질것이고 두번째만 쓴다면 자신이 배우는 것과 새로운 시각이 부족할 것이라는 점이다. 두가지를 병행한다면 최고의 피드백이 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피드백을 받았다면 의식적인 연습이 필요하다. 의식적인 연습이란 의식적으로 자신이 부족한 점에 목표를 잡고 어느정도 얼마만큼의 객관적이며 정확한 수치로 목표를 정하고 하는것이 필요하다. 자신이 무작정 아무 목표 없이 연습만 한다면 정말 성장은 거의 없는 수준에 이르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글을 읽어 보셨다면 한번 이 말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내일도 여러분들과 함께 성장하는 날을 기대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