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Windows server 관련 용어 정리 - 1
    IT 공부 기록지 2023. 7. 10. 09:03
    반응형

    Windows server를 공부하면서 용어에 대한 설명은 계속 나열했습니다.

    하지만 제대로 용어정리사전 처럼 한번에 볼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정리해보려 생각하여 용어 정리 해봅니다.

     

     

     

     

    windows 레지스트리 :  레지스트리란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 정보와 설정값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사용자 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 레지스트리는 트리 구조로서 키와 값으로 구성되며 기본으로는 큰 5개의 하위트리로 구성되어 있다. 레지스트리는 적용버튼이 없으며 수정시 바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수정 및 추가시 신중을 기해야한다. 레지스트리의 저장되는 위치는 windows/system32/config에 저장되며 수정은 regedit을 통해 한다.

     

    레지스트리 하위트리 - HKEY_LOCAL_CACHINE, HKEY_CURRENT_USER, HKEY_USERS, HKEY_CLASSES_ROOT, HKEY_CURRNET_CONFIG

     

    프로토콜(Protocol) : 프로토콜이란 컴퓨터간의 통신을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규칙과 규약을 정의한 약속이다. 즉 컴퓨터 간의 소통을 위한 언어와 비슷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주로 계층적 구조로 설계되어있으며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모델과 TCP/IP모델이 가장 널리 알려진 구조이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P(Internet Protocol)  : TCP/IP는 네트워크에서 신뢰성있는 통신을 제공하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다.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목적지에서 다시 분할내용을 조립하여 원래데이터로 복구한다. TCP/IP는 현재 전 세계의 통일된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MAC(Media Access Control Address)주소 : MAC주소는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NIC(Network Interface Card)나 이더넷 카드와 같은 장비의 고유한 식별자. MAC주소는 물리적인 레벨에서 네트워크 장치를 식별하는 데 사용. MAC주소는 48비트길이로 16진수로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00:1A:2B:3C:4D:5E"와 같은 형식으로 표기됩니다. 하드웨어 적으로 기록되어져 있으므로 그 장비 하나의 고유한 식별자이다.

     

    IP주소 :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 네트워크 상에서 패킷의 출발지와 목적지를 지정하는데 사용. MAC주소가 물리적으로 기계에 새겨진 고유 식별자인 것과는 다르게 IP주소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해 기록된 것.  IP주소는 IPv4(32bit)와 IPv6(128bit)의 이진숫자로 표현되며 일반적으로는 10진수로 4개씩 끊어 A.B.C.D와 같은 형태로 표현됨. IP주소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네트워크 부분은 라우터가 담당하며 호스트는 각각의 노드들이 호스트다. 여기서 노드들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네트워크 장비들을 말하는데 속히 우리가 알고 있는 스마트폰, 컴퓨터, 태블릿 등의 통신 장비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서브넷(Subnet) : 서브넷은 네트워크를 IP단위로 부분적으로 분할하는 것을 말함. 일반적으로 대규모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서브넷으로 분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분할되어 나누어져 있는 서브넷은 같은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부분의 IP주소는 같아야 하고 호스트부분(각종기기)의 IP주소는 달라야 한다. 건물로 예를 들면 여러대의 아파트가 있지만 A B C동이라고 했을때 그 A동의 여러 호수가 있지만 아파트는 같다. 우리는 이 아파트 자체를 서브넷이라고 볼 수 있다.

     

    서브넷마스크(SubnetMask) : 서브넷 마스크란 서브넷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서브넷 마스크의 설정에 따라 서브넷의 범위가 달라진다. 위의 설명에서는 서브넷마스크가 아파트 동 전체가 된다. 하지만 범위를 다르게 한다면 그 아파트의 층만이 서브넷이 될 수도 있다. 서브넷 마스크도 32bit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은 1뒤는 0으로만 이루어지면 101010.... 같이 섞이지않는다.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 이런식으로 나오며 앞에서부터 1이 같은 쪽은 같은 서브넷으로 분류된다. CIDR라는 방식으로도 표현할 수 있는데 이는 /뒤에 숫자로 나타내며 1의 갯수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예를 들어 192.168.0.1/24는 24는 32비트에서 24개의 1이 앞에 있다는 의미이다. 즉 24는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인 것이다.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브로드캐스트란 로컬 네트워크 안에서 모든 호스트를 대상으로 패킷을 전송하는 일대다 통신방식. 여기서 로컬이라 함은 라우터를 기준으로 분리된 네트워크이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는 기본적으로 MAC주소와 IP주소를 서로 연결하는 용도로 쓰인다. LAN에서는 IP주소가 아닌 MAC주소를 이용해 통신한다. IP주소를 알고 있을때 우리는 ARP요청 메세지를 브로드 캐스트하여 목적지의 호스트는 자신의 IP를 확인해 응답 메세지를 reply 합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