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iSCSI 설치(Windows server)
    IT 공부 기록지/Windows server 2023. 7. 12. 14:03
    반응형

    Window Server에서 iSCSI를 구성해 봅시다.

     

     

    설치환경

     

     

    - Windows server 2019

     

    Windows server 2019에서 AD를 구축해 도메인에 가입해놓은 상태입니다. 총 3대의 도메인에 가입된 노드로 진행예정입니다.

     

    iSCSI target, Node1, Node2로 3대로 진행합니다.

    Target server에 iSCSI를 설치이후 Node 1,2는 Cluster

     

     

    iSCSI설치

     

     

    • Windows server에서 서버관리자에서 역할 및 기능 추가를 열어 iSCSI 대상 서버를 체크하여 [다음]을 클릭합니다.

     

     

     

    • 설치가 완료되면 왼쪽에 파일 및 저장소 서비스 칸으로 들어갑니다.

     

     

     

      파일 및 저장소에서 iSCSI 가상 디스크 마법사를 시작합니다.

     

     

     

      마법사에서 대상 클러스터 서버와 설치 디스크 위치를 지정합니다. 경로를 지정하고 싶다면 직접 지정합니다.

     

     

     

      디스크의 이름 지정하고 생성합니다.

     

     

     

    •  가상 디스크의 용량과 디스크의 속성을 지정합니다. 각각의 옵션은 밑에 나와있습니다.

     

     

     

    •  기존의 디스크가 없기 떄문에 새 iSCSI를 만들어줍니다.

     

     

     

    •  대상 이름을 지정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액세스 서버가 현재 없으므로 추가를 합니다. 

     

     

     

    • 저의 경우에는 도메인에 가입을 했기 때문에 도메인 DNS주소를 넣었습니다. 

     

     

     

     

    • CHAP을 사용할지에 대한 부분을 선택합니다. 사용하지 않을 예정이므로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 디스크속성을 확인하고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 만들기가 다 되면 사항들을 확인하고 닫기를 클릭합니다.

     

     

     

    • 만들기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생성이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저는 총 3번의 디스크를 만들어 기존대상에 연결하여 추가하였습니다. 3번의 방식은 앞에 부분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겠습니다.

     

     

     

     

    iSCSI 가상 디스크 연결

     

     

    • 연결을 위해 접속을 허용한 Node에서 iSCSI 초기자를 켭니다.

     

     

     

    • 서비스 실행을 자동으로 하기위해 예를 클릭하고 넘어갑니다.

     

     

     

    • iSCSI 초기자가 열리면 빠른연결에 IP 혹은 DNS주소를 입력하고 빠른 연결을 클릭합니다.

     

     

    • iSCSI에서 입력했던 초기자 아이디를 확인하고 연결을 클릭합니다.

     

     

     

    • 연결을 확인하기 위해 노드에서 실행을 켜고 diskmgmt.msc를 실행한 뒤 오프라인을 온라인으로 바꿔줍니다.

     

     

     

     

    정리 및 요약 

     

    우선 내용을 정리하기 전 iSCSI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iSCSI는 ip프로토콜을 기반으로 SCSI스트리지를 공유할 때 쓰이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방식은 SAN을 스위치와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쓰는 방식을 택했으나 규모가 크지않은 회사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iSCSI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이용해 사용하는 것이다 보니 SAN방식보다 느릴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블록 스트리지는 기본적으로 DB에 많이 쓰이는데 전용통신망이 아니라 네트워크상으로 같이 쓰게된다면 DB의 특성상 디스크 I/O가 많을 것인데, 네트워크에 부하를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규모와 환경이 맞다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구성하기 쉬운 iSCSI를 쓰는것이 매우 적절해 보입니다.

     

    iSCSI는 NAS의 장점과 SAN의 합쳐놓은 스토리지 입니다. 둘을 합쳐 좋은 기술이 발생했지만 거기에 따른 네트워크라던지 i/o의 속도의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충분히 좋은 기술이라고 생각합니다. iSCSI의 구성 방법을 알아보는 과정에서 많은 옵션들이 있진 않았지만 네트워크를 이용하기에 통신이 중요하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더 공부하여 추가적인 블로그 글을 올려 링크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IT 공부 기록지 > Wind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 SQL Failover Cluster 구성  (0) 2023.07.18
    Windows server Cluster구성(Failover Clustering)  (0) 2023.07.13
    MS SQL 설치(SQL, SSMS)  (0) 2023.07.11
    AD(Active directory) 설치  (0) 2023.07.10
    레지스트리란? -1  (0) 2023.06.1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