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레지스트리란? -1
    IT 공부 기록지/Windows server 2023. 6. 13. 13:03
    반응형

    윈도우 레지스트리란 무엇인가?

    우리는 가끔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이전에 레지스트리를 등록하라는 것들을 가끔 본다.

    가끔 이런 아이콘을 클릭해 레지스트리를 추가하곤 한다. 그런데 정작 레지스트리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제대로 알아본적이 없다. 이걸 보면서도 이걸 하지 않으면 실행이 안되니까 그저 클릭하고 추가했을 뿐이다. 

     

     이제는 윈도우를 공부하는 입장이 되니 레지스트리는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그럼 차차 공부해보자.

    윈도우 레지스트리의 정의는 컴퓨터의 사용자계정, 컴퓨터 하드웨어 등의 설정 또는 구성에 대한 정보가 담긴 계층 구조의 데이터 베이스라고 정의 되어 있다. 그럼 이게 무슨말인가? 라는 생각이 들것이다. 이 말을 쉽게 풀어보자.

      

     컴퓨터를 사용함에 있어서 우리는 입맛에 맞게 각종 사용자 설정이나 공유폴더 연결 네트워크 연결설정 등등 을 한다고 하자. 그럼 이 구성들이 컴퓨터를 켜고 난 다음에 다 사라져서 다시 해야한다면 어떨까? 이렇게 비효율적인 일은 없을 것이다. 이러한 일을 방지하는 것이 레지스트리다. 레지스트리는 우리가 설정한 값을 레지스트리에 저장해 컴퓨터를 다시 켰을 때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게끔 해준다. 

     

     또한 레지스트리는 동적인 하드웨어의 정보를 저장한다. 동적인 하드웨어란 서버가 시작할때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각종 정보 또한 저장한다. 한마디로 레지스트리는 서버내의 모든 설정값과 하드웨어에 대한 설정 같은 대부분의 중요한 정보와 개인적인 정보 모든것은 저장해 레지스트리에 저장한다고 볼 수 있다.

     

     위의 내용을 토대로 살펴보면 레지스트리는 함부로 사전 지식없이 손댔다가는 치명적인 오류를 가져올 수 있기에 임의로 손대지 않는 것이 좋다. 레지스트리를 손대는 방법은 윈도우 [실행]->regedit 을 실행하면 볼 수 있다.

    위의 사진은 regedit을 실행한 창이다. 여기서 레지스트리는 계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으로 나누어져 트리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창의 왼쪽에서는 5개의 계층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보인다. 

     5개의 계층 구조는 각각의 내용이 있으며 아래의 계층에 대해서는 다음장에서 다뤄보도록 하자

    반응형

    'IT 공부 기록지 > Windows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server Cluster구성(Failover Clustering)  (0) 2023.07.13
    iSCSI 설치(Windows server)  (0) 2023.07.12
    MS SQL 설치(SQL, SSMS)  (0) 2023.07.11
    AD(Active directory) 설치  (0) 2023.07.10
    AD(active directory)란?  (0) 2023.06.09

    댓글

Designed by Tistory.